Characteristics and Virulence Assay of Entomopathogenic Fungus Nomuraea rileyi for the Microbial Control of Spodoptera exigua (Lepidoptera: Noctuidae)

The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2012)

引用 5|浏览8
暂无评分
摘要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은 유기합성 농약을 이용한 화학 살충제 외에 뚜렷한 방제방법이 알려져 있지 않으나, 그에 대한 저항성과 더불어 식물을 가해하는 방법에 있어 그들만의 독특한 숙주 가해습성으로 인해 난방제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화학살충제에 대한 저항성의 해결을 위하여 곤충병원성 바이러스 및 세균을 이용한 살충제가 개발되어 있으나, 이들 역시 파밤나방 유충이 줄기 속으로 들어가는 가해습성으로 인하여 효과적이지 못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그들의 가해습성과 저항성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제원으로써, 체벽과의 일시적인 접촉을 통해 살충성을 발휘할 수 있는 파밤나방에 대한 병원성 곰팡이를 분리하고 그 특성 및 살충성을 조사하였다. 파밤나방 병원성 곰팡이는 파밤나방 누대사육 중 곰팡이병 증상을 보이며 이병된 사충으로부터 분리하였으며, 분리 곰팡이는 배지에서의 증식상 및 현미경적 관찰을 통한 형태학적 동정과 더불어 ITS, ${\beta}$-tublin 및 EF1-${\alpha}$ 부분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Nomuraea rileyi로 최종 동정하고 N. rileyi SDSe로 명명하였다. 분리 균주의 파밤나방에 대한 살충력 검정은 $1{\times}10^4-10^8conidia/ml$까지의 다양한 포자현탁액에 파밤나방 3령 유충을 침지하는 조건으로 수행한 결과, 20-54%의 살충률을 나타냈으며 포자현탁액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살충력도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 분리된 N. rileyi 균주가 비록 높은 살충력을 보이지 않았으나, 파밤나방이 난방제 해충임을 감안할 때 다른 방제방법과 함께 종합적 해충 방제 방법에 있어 효과적인 방제수단의 일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o date, chemical control remains the most common way to reduc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populations. However, this insect has become more tolerant or resistant to many chemical insecticides and the insect larvae usually hide inside hollow, tube-like leaves of host plant so they were difficult to kill by spraying insecticides. The use of viral and bacterial insecticide to solve these problems has not been successful because of their novel feeding habit. To overcome these problems, in this study,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virulence of an entomopathogenic fungus isolated from the cadaver of larvae beet armyworm were investigated. Isolated entomopathogenic fungus was identified as Nomeraea rileyi (Farlow) Samson by morphological examinations and genetic identification using sequences of the ITS, ${\beta}$-tubulin gene and EF1-${\alpha}$ regions. This fungus was named as N. rileyi SDSe. Virulence tests against 3rd larvae of beet armyworm were conducted with various conidial suspensions from $1{\times}10^4$ to $10^8$ conidia/ml of N. rileyi SDSe in laboratory conditions. Mortality rate of beet armyworm showed from 20 to 54% and the virulence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idial concentrations. Although N. rileyi SDSe showed low mortality rate against beet armyworm, it is expected that N. rileyi SDSe will be used effectively in the integrated pest management programs against the beet armyworm.
更多
查看译文
关键词
biocontrol
AI 理解论文
溯源树
样例
生成溯源树,研究论文发展脉络
Chat Paper
正在生成论文摘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