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the Inter-Korean Grammar Impact in the Grammar Description of Overseas Koreans in China(1) - A Study on the Discuss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in Yeonbyeon University"s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Joseon Language’

Hyeon-ah Oh,Shin Heeseong, Park Jin Hee, Kim, Ja-young, Choi, Sun-hee, Noh, Haneul, Soyoung Choi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2020)

引用 0|浏览2
暂无评分
摘要
이 연구의 거시적 목적은 이남 중심의 문법 기술을 넘어 재외 동포의 문법 기술까지 포함한 총체적인 문법 기술을 하는 데 있으며, 미시적으로는 중국 재외 동포 문법기술에 나타난 이남과 이북의 문법 영향 관계 분석을 하는 데 있다.중국 재외 동포 문법 기술 분석을 위한 기본적인 연구 대상으로는 리득춘․리승자․김광수(2006)를 택하였으며, 본격적인 논의를 위해 2장에서 중국 재외 동포 문법기술 분석의 의의를 다루고, 3장에서는 중국 재외 동포 문법 기술에 나타난 남북 문법 영향 관계 특성을 ‘1) 근대 조선어 어음 및 문법 형태, 2) 현대 조선어 어음, 3) 현대 조선어 문법, 4) 근대 조선어 어휘, 5) 현대 조선어 어휘’로 구분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그 결과 리득춘․리승자․김광수(2006)에 나타난 남북 문법 영향 관계를 세부 영역별로 확인해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 논의는 시작에 불과하며, 세부 영역별로 좀더 깊이 있게 논의되고 확대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다루지 못한 내용은 후일을 기약하며, 관련 논의가 활성화될 수 있길 기대해 본다.
更多
查看译文
关键词
contemporary inter-korean,overseas koreans,joseon language,grammar description
AI 理解论文
溯源树
样例
生成溯源树,研究论文发展脉络
Chat Paper
正在生成论文摘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