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막삼출 원인질환의 감별진단에 있어서 흉막액 Adenosine Deaminase 활성도 및 Carcinoembryonic Antigen 병행측정의 임상적 의의

Jong Hoon Lee,Sang Ho Jang, Hong Lyeol Lee, Seung Min Kwak,Jung Hyun Chang,Byung Il Kim, Sun Hee Cheon,Se Kyu Kim,Joong Chang,Sung Kyu Kim,Won Young Lee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1970)

引用 2|浏览1
暂无评分
摘要
연구배경 : 흉막삼출의 원인 규명을 위한 방법으로는 여출액과 삼출액을 감별하기 위한 흉막액 통상검사, 세균학적검사, 세포학적검사 및 흉막생검 등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여러가지 방법으로도 약 10~20% 에서는 그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상기한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확진된 흉막삼출 환자를 대상으로 흉막액의 adenosine deaminase (ADA) 활성도 및 carcinoembryonic antigen (CEA)을 측정함으로써 흉막삼출 원인질환의 감별진단에 있어서의 임상적 의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1984년 3월부터 1987년 3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 병원에 삼출성 흉막염으로 입원하였던 환자중, 진단이 확실한 결핵성 흉막염 환자 61예, 폐결핵에 동반된 흉막삼출 17예, 악성 흉막염으로 확진된 17예, 폐암 및 기타 장기암에 동반된 흉막삼출 22예, 부폐렴성 흉막삼출 7예로서 총 124예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흉막액 ADA 활성도 및 CEA 치를 병행 측정하였다. 결과: 1) 결핵성 흉막삼출의 ADA 활성도는 악성 흉막삼출에 비하여 의의있게 높았다. 2) 악성 흉악삼출의 CEA 치는 결핵성 흉막삼출에 비하여 의의있게 높았다. 3) 흉막액 ADA 활성도가 40U/L 이상이면서 CEA 치 12ng/mL 미만인 경우를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 기준으로 삼으면 그 예민도는 86.9%, 특이도는 100%이었다. 흉막액 CEA 치가 12 ng/mL 이상이면서 ADA 활성도가 40U/L 미만인 경우를 악성 흉막염의 진단 기준으로 하면 그 예민도는 76.5%, 특이도는 100%이었다. 결론 : 흉막액 ADA 활성도 및 CEA 치의 병행 측정은 흉막삼출 원인질환의 감별진단에 매우 중요한 지표로 삼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 In order to establish the etiology of the pleural effusion, routine analysis of the fluid, bacteriologic studies, cytologic tests and pleural biopsies are currently being employed. However, even with the above mentioned tests, the exact causes cannot be determined in approximately 10-20% of cases.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determine the diagnostic value of measuring ADA activity and CEA simultaneously in various pleural fluids which their etiologies have confirmed Methods: We have studied 61 cases of tuberculous pleural effusions, 17 cases of suspected tuberculous pleural effusions, 17 cases of malignant pleural effusions, 22 cases of suspected malignant pleural effusions, and 7 cases of parapneumonic pleural effusions. We have measured the ADA activity and CEA level simultaneously in pleural fluid samples in each cases. Results: 1) The ADA activity in tuberculous pleural effu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malignant effusion. 2) The CEA level in malignant pleural effu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uberculous effusion. 3) With the cut-off values of the pleural fluid ADA activity more than 40 U/L and the CEA level less than 12 ng/mL, the sensitivity was 86.9%, and the specificity was 100% in the diagnosis of tuberculous effusion. With the cut-off values of the pleural fluid CEA level more than 12 g/mL and the ADA activity less than 40 U/L, the sensitivity was 76.5%, and the specificity was 100% in the diagnosis of malignant effusio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combined assay of pleural fluid ADA activity and CEA level is very useful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tuberculous and malignant pleural effusion.】
更多
查看译文
AI 理解论文
溯源树
样例
生成溯源树,研究论文发展脉络
Chat Paper
正在生成论文摘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