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activities of feral peach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flower extracts and Prunus mume flower extracts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2021)

引用 1|浏览3
暂无评分
摘要
본 연구에서는 개복숭아꽃과 흰색, 분홍색 매화 꽃의 항균 활성과 항산화, 미백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3종의 꽃추출물들은 4종의 균주 중에 S. aureus에 대해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냈다. 흰매화 클로로포름층은 0.5 mg/mL 농도에서 S. aureus에 대해 84%의 항균 활성을 보였고 개복숭아꽃과 분홍매화 클로로포름층도 0.5 mg/mL 농도에서 각각 49, 30%의 항균 효과를 나타냈다. 3종의 꽃추출물들은 P. aeruginosa에 대해서도 항균 효과를 보였다. 개복숭아꽃 클로로포름층과 분홍매화 클로로포름층은 0.5 mg/mL 농도에서 각각 36, 30%의 항균활성을 보였다. 이 추출물들은 S. epidermidis와 E. coli에 대해서는 항균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3종의 꽃추출물들은 HaCaT cell의 생존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분홍매화 증류수층은 20, 40 μg/mL 농도에서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분홍매화 에틸아세테이트층도 40 μg/mL에서 항산화 효과를 보였는데 이는 글루타치온 보다 우수하였다. 꽃추출물들은 B16F10 cell의 생존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꽃추출물들의 미백 효과는 개복숭아꽃 클로로포름층 40 μg/mL에서 18%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3종의 꽃추출물들은 항균 활성과 항산화, 미백 효과가 있는 원료로 판단할 수 있었다.
更多
查看译文
关键词
feral peach,flower extracts,prunus mume flower,prunus persica batsch var,bioactivities
AI 理解论文
溯源树
样例
生成溯源树,研究论文发展脉络
Chat Paper
正在生成论文摘要